회원가입 차트달기 유료서비스안내 고객센터
 
GT 리포트
게임뉴스
하드웨어 뉴스
소프트웨어 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2025년 10월 2주차 주간..
2025년 10월 3주차 주간..
2025년 10월 4주차 주간..
2025년 10월 5주차 주간..
2025년 11월 1주차 주간..
25년 10월 월간게임동향
드림에이지 MMO '아키텍..
파밍 집중한 방치형 RPG,..
[겜ㅊㅊ] 직접 해보고 추..
 
 
홈> 뉴스> 게임뉴스  
  12월 16일, 몬스터 헌터 와일즈에 '고그마지오스' 나온다
 
2025년 11월 13일 () 조회수 : 32
몬스터 헌터 와일즈에 등장하는 고그마지오스 (사진출처: 몬스터 헌터 공식 X)
▲ 몬스터 헌터 와일즈에 등장하는 고그마지오스 (사진출처: 몬스터 헌터 공식 X)

캡콤이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네 번째 업데이트를 통해 ‘거극룡 고그마지오스'를 추가한다.

오는 12월 16일 추가 예정인 신규 몬스터 고그마지오스는 헌터 랭크(HR) 100 이상부터 수렵할 수 있다. 고그마지오스는 ‘몬스터 헌터 4G’ 최종 보스 몬스터로 등장한 바 있으며, 이름은 몬스터의 등에 박혀 있는 인류 최초의 격룡창에서 유래했다. 먹이에 포함된 불순물과 노폐물을 중유 형태로 피부로 배출해 전신에 두르고 있으며, 고농도로 압축한 중유를 토해내 고열의 열선인 폭열증룡유 브레스를 발사하는 것이 주요 공격 수단이다.

이 몬스터를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는 화염과 용 속성 무기가 유효하며, 특히 용 속성 공격이 약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고그마지오스가 화염 속성 공격을 받으면 몸이 점차 연화되어 더 많은 피해를 입힐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업데이트와 함께 계절 이벤트인 ‘교차의 제사(交わりの祭事)’도 개최된다.

고그마지오스 등장에 맞춰 장비의 최종 콘텐츠도 확장된다. 무기의 경우 고그마지오스로부터 얻는 전용 소재를 활용하여 ‘레어도 8의 아르티아 무기’를 강화할 수 있다. 이 강화는 기존 무기의 보너스를 유지하는 동시에 시리즈 스킬과 그룹 스킬이 각각 한 종류씩 무작위로 부여되는 형태로 진행된다. 또한 나나이로카네 등 소재를 사용하는 복원 강화 시에도 더 강력한 복원 보너스를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다.

방어구 역시 헌터 랭크 100 이상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계 돌파 강화’ 시스템이 도입된다. 방어구를 한계 돌파하면 갑옷 구슬을 사용한 강화 상한이 풀리며, 레어도 5와 6 방어구의 경우 장식품 슬롯이 강화된다. 갑옷 구슬의 수급 난이도를 낮추는 조치 역시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시스템 개선이 예고됐다. 정련의 화로에서 나나이로카네와 갑옷 구슬을 정련할 때 일부 소재의 정련 값이 상향 조정되어 활용도가 낮았던 소재도 정련에 더욱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또한 최고 난이도인 ‘★9 리오레우스’가 등장하고, 무기 밸런스 상향 조정 및 게임 안정성 향상을 위한 여러 개선도 진행된다.

한편, 캡콤은 이번 업데이트의 세부 정보와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3 ~운명의 쌍룡~’의 신규 정보를 12월 초에 ‘몬스터 헌터 쇼케이스’를 통해 추가로 발표할 계획이다.

Copyright ⓒ 게임메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임뉴스 리스트
마술쇼부터 퍼레이드까지, 크래프톤 지스타 현장 이벤트 2025-11-13
넷이즈 무협 기대작 '연운', 사전 다운로드 열렸다 2025-11-13
12월 16일, 몬스터 헌터 와일즈에 '고그마지오스' 나온다 2025-11-13
[포토] 도넛과 커피와 총이 있는, 지스타 'PUBG 카페' 2025-11-13
[포토] 유쾌함 앞세워 지스타 2025에 등장한 타르코프 2025-11-13
 
 
 장르순위 - RTS
순위 게임명 점유율
 
리그 오브 레전드 92.83% 
 
스타크래프트 4.08% 
 
이터널 리턴 1.35% 
 
워크래프트 3 0.90% 
 
스타크래프트2 0.35% 
 
도타 2 0.33%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0.11% 
 
카오스온라인 0.05% 
 
슈퍼바이브 0.01% 
 
히어로즈 오브 뉴어스 0.00% 
전일대비
회사소개 게임트릭스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제휴문의 사이트맵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서